[ 경주 동궁과 월지 Ⅲ 발굴조사보고서 ]발행일: 2019년 11월 29일발행기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집필·편집자: 이종훈, 권택장, 김경열, 박지영, 이윤경, 현정아, 강승규, 김재현, 김주희, 김형철, 정민규, 신지영, 최현구, 김수훈, 김윤지, 조은미, 김헌석, 안소현, 황상일, 윤순옥, 김혜령, 정민호, 이보현, 정규덕조사목적: 신라 왕경구조 복원자료 수집 및 동궁 구조 확인을 위한 학술 발굴조사발굴조사자: 심영섭, 이종훈, 박윤정, 이희준, 정성목, 장은혜, 성소현, 박주영, 조혜윤, 정원혁, 최인혁, 박지영, 이윤경, 현정아, 정용남, 손동균유적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22-2번지 일대조사면적: 6,575㎡(약 1,989평)특기사항: 신라왕경 계획도시 및 동궁 관련 유구 확인시대: 통일신라유구종별: 도시·왕궁중요유물: 와전, 토기, 자기, 황동제 및 금동제 장식구경주 동궁과 월지 Ⅲ 발굴조사보고서는 2014~2017년도(8~9차) 발굴조사 내용을 중심이며, 조사 지역은 동궁과 월지 동편에 해당한다. 통일신라 전·후를 시작으로 통일신라 말기까지 유지된 건물지군이 확인되었으며, 당시에 조영된 대형 건물군과 담장, 도로, 석축, 우물 등의 유구가 밀집되어 있다. 확인된 유구는 신라 왕경 및 동궁과 관련된 것으로 신라 중심지역의 실제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주요 자료이다. 또한, 보고서는 동궁과 월지 가지구 동편 구간에서 확인된 3호 우물에서 중점적으로 출토된 인골, 동·식물 유체 등의 자연유물에 대하여 심도있는 분석 및 연구를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