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역사 문화 조사 자료 데이터베이스

원문목록

주암댐 수몰지역 종합학술조사 보고서住巖댐 水沒地域 綜合學術調査 報告書

원문 상세보기
발간연도 1987
대상지역 전라남도,전라남도
시대
성격 기타
발간기관 전남대학교 박물관
원문보기 JNUM00061987JSJB0000.pdf
발간기관
보고서 URL
목차
표지, 목차
내우산마을의 수몰과 그 사회적 충격
주암댐 수몰지역의 전적 연구
주암댐 수몰지역의 민속고
주암댐 수몰지역의 방언과 지명
주암다목적댐 건설사업의 지역개발효과에 관한 연구
주암댐 수몰지역 농민에 대한 사회경제적 조사연구
주암댐 수몰지역의 설화 유형고
주암댐 수몰지역의 지질 및 지형
주암댐 수몰지역의 유희요·의식요·비기능요 조사연구
주암댐 수몰지역의 이앙요 조사연구
주암댐 수몰지역의 교통로변천과정조사연구
주암댐 수몰지역의 역사
주암댐 수몰지역내 자연부락의 정주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1. 머리말
    I. 연구의 목적
    I. 서언
    1. 서언
    1. 서론
    I. 서언
    I. 머리말
    I. 서론
    1. 마을의 명칭과 성촌의 역사
    IV. 낙수역의 연혁과 주변교통
    I. 서언
    I. 서언
    II. 조사경위
    V. 현대도로의 발달과 주민교통
    II. 세시풍속
    II. 조사 연구 지역 및 자료 개관
    2. 조사대상지역의 개관
    II. 조사 전적의 개관
    2. 방언적 특징
    II. 수자원 개발과 댐건설 현황
    2. 위치 및 교통
    II. 분류번호의 명칭
    2. 마을의 위치와 지세 그리고 경관
    II. 연구의 방법 및 범위
    III. 유희요
    III. 민간신앙
    III. 마을의 개념
    III. 분류의 실제
    III. 『문정공 유사』의 문학적 의미
    3. 지명 접미사의 유형
    III. 수몰지역의 개황
    III. 주암댐건설사업의 연혁과 배경
    3. 이주이전의 사회경제생활
    3. 지형개설
    VI. 맺는말
    3. 마을의 문화유적
    IV. 우산 안방준의 학연과 『은봉전서』
    4. 결어
       1. 지리적 위치
    IV. 통과의례
    IV. 결어
    4. 지질개설
    IV. 주암댐건설사업의 성격과 목표
    4. 내우산마을 해체의 제양상
    4. 수몰대상과 보상내역
    IV. 부락의 구성
    IV. 의식요
    5. 암석기재
    V. 부락의 공간구성
    V. 결론
    V. 주암댐건설사업의 지역개발효과
       2. 자연환경
    5. 이주이후의 사회경제생활
    V. 결언
    5. 이주에 따른 문제와 그 대책
    V. 비기능요
    VI. 부락공간의 변화과정 및 변화요인
    6. 맺는말
    6. 지질구조
    VI. 주암댐건설사업지역 개발방향
    VI. 결어
    7. 지사
    VII. 결론
    VII. 단위 주거의 공간구성과 변화형태분석
    VIII. 결론
    8. 고인돌
    9. 결언
논저
목록